8월 8일 주일

 

마샬 시걸 목사님의 귀한 글 나눕니다. 

 

피조계에서 하나님을 보려면

로마서 1장을 보면 알 수 있듯, 하나님은 우리가 보고, 냄새 맡고, 듣고, 맛보고, 만질 수 있는 모든 것 안에서 광대하고 섬세한 메시지를 발견할 수 있는 마음을 주셨다. 그리고 그후에 우리를 그가 창조하신 피조계 속으로 보내셨다. 하지만 동시에 로마서 1장은 우리가 발견하는 모든 아름다움에 대해 엄중하게 경고하는데, 우리가 이 세상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지 않으면(롬 1:17), 우리는 이 세상’만을’ 사랑하게 되어 파멸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인류 역사는 진리를 억누르고 “썩어지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영광을” 버렸던 죄인들의 이야기로 가득하다. 이 영광은 사람과 새와 짐승과 기어다니는 동물에 이르기까지 그가 만드신 모든 것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이었으나 죄인들은 이 영광을 “썩어질 사람과 새와 짐승과 기어다니는 동물 모양의 우상으로”(롬 1:23) 바꾸어 버렸다. 새 자체의 아름다움을 그 새를 만드신 하나님보다 더 귀하게 여김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새들의 진짜 아름다움, 진짜 노래를 상실하고 말았다. 그들이 본다고 착각했던 그 영광은 사실 끔찍한 것이고 하나님을 모독하는 신기루일 뿐이었다. 

실체를 오독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죄와 하나님의 진노의 나락 안으로 떨어지고 말았다(롬 1:24–25). 하지만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피조계를 볼 수 있는 새로운 눈을 얻었다. “어두운 데에 빛이 비치라 말씀하셨던 그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에 있는 하나님의 영광을 아는 빛을 우리 마음에 비추셨느니라”(고후 4:6). 그 빛이 우리 안에 ‘그의 말씀을 통해’ 비추어졌을 때, 동일한 빛은 해처럼 떠올라 그가 만드신 모든 피조물들을 비추기 시작한다. T. M. 모어(T. M. Moore)는 “피조계의 전적이고도 최종적인 목적을 알려면 하나님이 만드신 모든 것들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의 눈으로 봐야 한다”(‘Consider the Lilies,’ 89쪽)라고 말했다.

피조계를 바라볼 때

스티브 드윗(Steve DeWitt)은 “그리스도의 아름다움을 보기 전에는 다른 어떤 것에서도 진정한 아름다움을 볼 수 없다“라고 썼다(‘Eyes Wide Open,’ 116쪽). 파랑새가 부르는 블루스, 펭귄의 어기적거림, 강의 급류와 호수의 잔잔함, 백합 꽃잎, 절벽을 타고 내려가는 산사태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으려면 우리는 우리의 시선을 영원히 예수께 고정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분으로부터 눈을 ‘떼면’ 피조계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없다. 온 세상을 창조하신 그분을(히 1:2) ‘통해서만’ 그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우리가 그 아름다움을 보기 ‘원할 때’ 예수님은 다른 모든 것들의 아름다움을 풀어놓아 우리로 하여금 보게 하신다.

다윗왕의 시편을 떠올리며 ‘평범한’ 하늘을 올려다보면, 우리도 그처럼 하나님 앞에서 경외심으로 그분을 경배하게 되지 않을까?

“주의 손가락으로 만드신 주의 하늘과 주께서 베풀어 두신 달과 별들을 내가 보오니 사람이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기에 주께서 그를 돌보시나이까”(시 8:3–4).

이런 종류의 경외감을 가지려면, 특히 그간 피조계를 피하거나 무시해왔던 사람들의 경우에는, 처음에는 의도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자연스러워질 것이다. 기억하라. 언제나 시간이 ‘걸린다.’ 다윗은 “주의 하늘 … ‘내가 보오니’”라고 했다. 하지만 피조계를 통해 우리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그에게 감사하고 그를 즐거워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그를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나님은 결코 평범치 않은 당신의 ‘영원한’ 능력을 드러내고 계시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히 평균 이상이 아닌 ‘신적인’ 본질이다. 

하늘과 땅이 만날 때

이 땅에서는 우리가 ‘그의 피조계를 통해’ 그를 보고 즐거워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으나, 다가올 세상에서는 그리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천국은 하나님에 대한 이런 지식과 경험을 풍성케 해줄 것이다. 창조된 세계는 썩어짐의 속박으로부터 해방될 것이고 ‘우리도’ 피조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을 바라보지 못하던 소경 됨으로부터 자유를 얻을 것이다.

그 영원한 날이 오면 “하나님이 지으신 그 모든 것을 보시니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창 1:31)의 의미에 대해 더 알게 될 것이다. 일반계시에 대해 우리가 조심스레 가졌던 그 긴장과 조바심은, 항상 우리 눈앞에 있었지만 우리가 보지 못했던 것, 다시 말해 모든 피조물에 드러난 하나님의 자취를 발견해내고 드러내는 그 기쁨 앞에서 사그러들고 말 것이다.

그날이 오기까지는, 타락하여 망가진 상태에 있는 피조물들이지만 우리는 그가 만드신 피조물들 안에서 그의 음성 듣기를 연습한다. 조 리그니(Joe Rigney)는 “삼위일체 하나님은 서로에 대한 사랑으로 이 세상을 무로부터 창조하셨다. 그러므로 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랑을 정확히 드러낸다면 우리의 사랑 역시 피조계에 대한 깊고 심오하고도 어울리는 사랑으로 이어져야 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랑은 창조를 이루어내었다. 우리 역시 그래야 한다.”(‘The Things of Earth,’ 62족)라고 말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은 그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하나님 자신을 우리에게 더 주시기 위해 ‘이’ 세상을 창조하셨다. 그러므로 잠시 멈춰 그를 즐거워함이 마땅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